꾸릉스토리

[스프링] Spring(STS3)에서 DB연동하기 (6)-DB 데이터 삭제 본문

개발

[스프링] Spring(STS3)에서 DB연동하기 (6)-DB 데이터 삭제

꾸릉스토리 2024. 5. 28. 14:38

 

 

https://nameguhyeon.tistory.com/10

 

[스프링] Spring(STS3)에서 DB연동하기 (5)-DB 데이터 수정

https://nameguhyeon.tistory.com/9 [스프링] Spring(STS3)에서 DB연동하기 (4)-DB에 데이터 추가하기https://nameguhyeon.tistory.com/8 [스프링] Spring(STS3)에서 DB연동하기 (3)-실제 DB데이터 가져오기우선 간단하게 jsp페

nameguhyeon.tistory.com

 

위 게시글에 이어서 작성되는 내용입니다.

 

 

 

 

지난 글에 이어 이번에는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데이터를 삭제해보려 합니다.

 

 

userInfo.jsp 파일을 보면 삭제를 미리 만들어두었습니다.

 

하지만 다른 방식으로 해보려고합니다. 코드를 조금 수정하겠습니다.

 

 

 

삭제를 클릭하면 스크립트의 test함수가 실행되도록 코드를 수정했습니다.

 

 

삭제를 눌렀을 경우 confirm창이 뜨게되며 

 

확인을 클릭할 경우 location.href로 인해 delete 경로가 서버로 전달되어 삭제가 진행됩니다.

(취소를 누를경우 아무런 일도 발생하지 않습니다.)

 

 

컨트롤러로 이동하여 delete경로를 받아주기 위한 코드를 작성합니다.

 

 

컨트롤러에서는 매개변수로 req, res를 받아왔습니다.

 

그리고 사용자에게 내보내야할 텍스트가 있기때문에 IO에 대해서 예외처리를 해주었구요

 

modify와는 다르게 이번에는 ls.deleteUser의 반환 데이터타입을 String으로 받아줍니다.

 

 

 

인터페이스와 구현클래스입니다.

 

기존엔 컨트롤로에서 모든걸 처리했지만 이번에는 서비스에서 결과값을 기준으로 메세지를 구분했습니다.

 

서비스에서 처리하는 방식이 맞는거같긴합니다.

 

 

 

컨트롤러는 사용자로부터 요청받은 경로의 처리(서비스로 연동) 및

사용자에게 데이터를 전달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mapper 입니다.

 

int형태로 반환하며 xml에는 delete쿼리문을 사용합니다.

 

 

 

 

웹페이지에서 삭제를 누를 경우 컨펌창이 표시되고

 

확인을 누르면

 

서비스에서 작성한 msg가 컨트롤러로 전달되서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확인을 누르면 allList페이지로 이동되며 데이터가 사라진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하여 CRUD를 모두 확인해보았습니다.

 

 

다음번엔 조금 더 어려운 것을 공부해서 작성해보겠습니다.

 

 

 

 

 

 

 

 

 

 

 

 

 

반응형